K-LIDM의 구조
K-LIDM의 구조는 시나리오, 기상자료, 유출해석, 수리계산, LID 제어, 모형 조건설정, 결과분석의 8개 영역으로 구분
-
- 시나리오
- LID 적용 전, 후 프로젝트(project)를 선택하여 작업할 수 있는 기능으로 모의를 통해 모형 수행 결과의 비교·분석이 가능
-
- 기상자료
- 서울, 부산, 대구, 광주 등 국내 주요 기상관측소의 시 강우, 일 잠재 증발산량 및 확률강우량을 데이터베이스(database)로 구축하여 모형에
탑재
-
- 유출해석
- 투수 및 불투수 유역의 토지이용 상태에 따른 소유역별 면적을 입력하여 모의를 수행
-
- 수리계산
- 구형 연못(trapezoidal pond), 자연형 연못(irregular shaped pond),
수위-저류-방류(stage-storage-discharge; SSD)표, 암거(culvert), 자연형 수로(natural channel), 유량분배
시설(flow splitter)에 대한 모의를 수행
-
- LID 제어
- 투수성포장, 식생체류지, 옥상녹화, 빗물집수통, 식생여과대, 수목여과박스, 침투저류지, 침투트렌치, 식생수로, 모래여과상자의 총 10개 LID 시설물 대한 상세 효과 분석이 가능
-
- 모형 조건설정
- 계산 시간 간격의 설정, 지하수 함량 계산 유·무의 설정, LID 도입에 따른 유출량 감소 목표치 설정, 입출력 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관리, 투수 및
불투수 유역의 매개변수 호출 및 수정, 단위변환, 언어변환 등이 가능
-
- 결과분석
- 모형 수행 결과의 각종 통계분석 및 시계열 자료를 그래프 형태로 제공